급식체계별 유형 | |||
---|---|---|---|
전통적 급식체계 | 중앙공급식 급식체계 | 조리저장식 급식체계 | 조합식 급식체계 |
다른 이름
편집
편이식 급식체계(convenience-food)라고도 한다.
시스템적 특징
편집
가공 및 편이식품을 식재료로 대량 구입하여 조리를 최소화
- 저장, 조립, 가열, 배식의 기능만이 필요(전처리과정 필요없음)
구매한 식품을 냉동이나 냉장 상태로 저장해 두었다가 최소한의 조리나 재가열 후 다른 메뉴 품목과 조합하여 제공
식재료 구매에 관한 이점
편집
가공된 식재료들을
대량 단위나 1인분 단위로 구매하거나
혹은 1인분씩 냉동한 상태로도 구입할 수 있다.
장점
편집
품질
- 음식의 질이 일정하게 유지
효율성, 속도
- 최소한의 기기로 급식 가능
- 숙련된 조리원 불필요 - 노동시간, 인건비 절감, 생산성 증가
- 어느시간에나 빠른 서비스
단점
편집
메뉴 다양성 한계
- 더욱 다양한 메뉴를 제공하기엔 한계
- 개별적 환자 치료식을 제공하기에도 더더욱 한계
비용적 불리함
- 단가가 비싸다
- (가공, 반가공, 냉동상태로 구입하게 됨)
- 구입한 식재료의 저장공간 필요